본문 바로가기

공지사항

「2013 장애인-비장애인 통합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고치부는 미디어 바람”」개최안내 및 수강생 모집 게시물 상세보기
「2013 장애인-비장애인 통합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고치부는 미디어 바람”」개최안내 및 수강생 모집
등록일2013-06-17 13:44:00조회50,872

「2013 장애인-비장애인 통합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고치부는 미디어 바람”」개최안내 및 수강생 모집

(사)제주영상위원회는 한국전파방송통신진흥원의 2013년 미디어교육 지원 사업에 공모, 선정됨에 따라 제주영상미디어센터에서 「2013 장애인?비장애인 통합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고치부는 미디어 바람”」을 실시합니다.

장애인-비장애인 맞춤형 미디어 교육 서비스를 투입하여 이질적이었던 장애인?비장애인의 벽을 허물고 같은 인격체로서 서로의 의견과 사고를 공유하면서 동반자적 관계형성을 지향하고자 합니다.

이번 교육은 “장애인·비장애인 통합 미디어교육 입문과정” 과 “장애인·비장애인 통합 미디어 심화과정”으로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단순히 미디어로 표현, 제작하는 커리큘럼에서 탈피하여 소수자들의 사회,문화적 권리를 일반인들과 함께 소통하며 획득하는 과정에서 장애인?비장애인이 함께 세상과의 소통창구를 마련하고, 한 단계 발전하여 교육과정 속에서 자아를 찾고 세상과의 소통을 스스로 발견할 수 있는 문화적 미디어교육 커리큘럼으로 구성, 그 효과성을 입증하여 향후 우수프로그램으로서의 타 시도에 보급할만한 모델링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제주지역 제주도내 거주하는 영상제작활동 및 미디어 교육에 관심 있는 장애인 및 비장애인 등 영상 제작 분야에 관심 있으신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교육일정 관련 세부교육 계획은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교육개요

가) 교 육 명 :2013 장애인-비장애인 통합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 “고치부는 미디어 바람”

장애인·비장애인 통합 미디어교육 입문과정

장애인·비장애인 통합 미디어교육 심화과정

나) 주 최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다) 주 관 : (사)제주영상위원회

라) 교육기간 : 장애인·비장애인 통합 미디어교육 입문과정

( 2013.7.2(화) ~ 8.1(목) / 매주 화, 목 / 10:00~12:00)

장애인·비장애인 통합 미디어교육 심화과정

(2013. 8.6(화) ~ 9.10(화) / 매주 화, 목 / 10:00~12:00)

마) 교육장소 : 제주영상미디어센터 및 제주일대

바) 교육대상 : 장애인(경증지체장애) 및 사회복지사,

일반인 등 영상 제작 분야에 관심 있으신 분

□ 모집관련

가) 접수 : 2013. 06. 17(월) ~ 06. 28(금)

나) 접수방법 :

① 제주영상미디어센터 홈페이지 (http://www.jejumedia.com) 회원가입 후 수강신청

- (사)제주영상위원회 전화접수 ☎ 064-727-7801

라) 문의 : 제주영상위원회 제작교육팀 (☎ 064-727-7801)

※ 신청자가 많을 경우 조기마감 될 수 있으며 수강생 미달시 강의가 취소될 수 있습니다.

□ 커리큘럼

교육명

일 정

세부추진내용

프로그램 1. 장애인?비장애인 통합 미디어 입문 교육

2013. 7. 2~ 8. 1

매주 화, 목

(주2회),

1일 2시간

○ 프로그램명 : 장애인?비장애인 통합 미디어 입문 교육

○ 대상 : 제주도내 거주하는 영상제작활동 및 미디교육에 관심 있는 장애인 및 비장애인, 총 20명 내외

○ 장소 : 제주영상미디어센터 내 모든 시설 및 장소 적극 활용

○ 활동내용 : 미디어 제작 기초 교육 (입문)

1일차

-미디어에 대한 이해 (오리엔테이션)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교육과정 소개(프로그램안내)

- 미디어센터 체험(흥미유발)

- 장애인 미디어교육의 의미와 방향

7. 2 (화)

2일차

-장애인 인권과 소통

-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장애인 미디어 현황과 정책

- 장애인 속 미디어 권리와 책임

- 미디어 속 장애인

7. 4 (목)

3일차

- 영상미디어란

-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다양한 영상장르의 이해

- 영상제작의 이해

- 영상언어 및 표현법

7. 9 (화)

4일차

-카메라 작동법 및 촬영실기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영상으로 자기소개

- 하나의 장면을 여러컷으로 나누어 촬영하기

7. 11 (목)

5일차

기획과 스토리텔링의 이해

-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아이디어가 시나리오가 되기까지

- 스토리텔링 (구성안 작성)

7. 16 (화)

6일차

-촬영하기

-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구성안에 맞춰 촬영 및 제작

- 모둠별 제작 진행

7. 18 (목)

7일차

-편집 기초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편집의 이해

- 편집 프로그램 맛보기 (윈도우 무비 메이커, 프리미어 등)

- 편집 툴 다루기 (캡처, 자르고 붙이기, 효과주기, 자막 등)

7. 23 (화)

8일차

-보충촬영 및 편집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내레이션 대본 작성 및 녹음

- 가편집 평가 및 수정 회의

- 영상길이 및 음악 넣기

7. 25 (목)

9일차

-작품 제작 완성 및 상영 준비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효과음, 컬러, 자막, 엔딩 크레딧 등

- 상영방법 및 관객 초청 등 상영준비

7. 30 (화)

10일차

-작품 상영 및 평가

-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완성된 작품 상영 및 평가

- 질의 응답

설문 평가

- 교육 전반에 대한 교육생들의 평가

8. 1 (목)

프로그램 2. 장애인?비장애인 통합 미디어 심화 교육

2013. 8. 6 ~ 9. 10

매주 화,목(주2회),

1일 2시간

○ 프로그램명 : 장애인?비장애인 통합 미디어 심화 교육

○ 대상 : 미디어 기초반 수료자 및 심화교육을 필요로 하는 장애인 및 비장애인 총 20명 내외

○ 장소 : 제주영상미디어센터 내 모든 시설 및 장소 적극 활용

○ 활동내용 : 미디어 제작 기초 교육 (심화)

1일차

-기획과 스토리텔링의 이해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아이디어가 시나리오가 되기까지

- 이미지로 드러나는 이야기

- 이야기 전개 : 장애인 인권 및 비장애인의 장애인식 개선에 관한 소재를 중심으로

8. 6 (화)

2일차

-수집된 아이디어 및 이야기 정리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수집된 아이디어 및 이야기 정리

- 줄거리 구성 및 대본 작성

- 시간 흐름에 따라 그려보는 이야기 그림 (스토리보드 작성)

- 기획 내용에 맞는 영상장르 선택

(단편영화, 다큐멘터리, 포토에세이, 애니메이션 등 기획서 작성 및 제작)

8. 8 (목)

3일차

-영상제작 1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일정, 장소에 맞춰 촬영 및 제작

- 모둠별 제작 진행

- 촬영본 및 제작과정 점검 및 다음 일정 회의

8. 13 (화)

4일차

-영상제작 2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일정, 장소에 맞춰 촬영 및 제작

- 모둠별 제작 진행

- 촬영본 및 제작과정 점검 등

8. 20 (화)

5일차

-편집 1 / 가편집 하기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가편집하기

- 모둠별 기획서를 바탕으로 가편집

- 가편집 평가 및 수정 회의

8. 22 (목)

6일차

-편집 2 / 내레이션 대본 작성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배경 음악 및 효과음 준비

- 내레이션 대본 작성 및 녹음

8. 27 (화)

7일차

-편집 3 / 세부편집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세부 편집

- 기획서를 바탕으로 세부편집

- 영상길이 및 음악, 재촬영 계획 수립 등

8. 29 (목)

8일차

-재촬영 및 세부 편집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작품 제작 완성하기 / 재촬영하기

- 세부편집하기

- 효과음, 컬러, 자막, 엔딩 크레딧 등

9. 3 (화)

9일차

-영상마무리 및 상영준비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영상편집 마무리

- 상영회 준비

- 상영방법 및 관객 초청 등 상영준비

9. 5(목)

10일차

-영상페스티벌

-강사 : 변금윤 강사(외부)

- 작품 상영 및 평가

- 완성된 작품 상영 및 평가

- 설문 평가 등

9. 10 (화)

※ 교육 세부일정, 내용, 강사는 일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전체소식 게시물 목록을 게시물번호, 분류, 제목, 첨부파일 수, 등록일, 조회수로 나타낸 표입니다.
No. 분류 제목 첨부 등록일 조회
1192 2022년 탐나는 5060인생학교 봄학기(10기) 참여자 모집 2022년 탐나는 5060인생학교 봄학기(10기) 참여자 모집.. 1 2022-05-03 28667
1191 2022년 카본프리 아일랜드 도민참여 거버넌스 참여자 모집 공모.. 2022년 카본프리 아일랜드 도민참여 거버넌스 참여자 모집 공모.. 2 2022-05-03 26763
1190 전문인력양성교육 '흑백사진 암실교육' 수강생 모집 공고 전문인력양성교육 '흑백사진 암실교육' 수강생 모집 공고.. 1 2022-05-03 28251
1189 2022 제주 애니아일랜드 운영사업 「캐릭터라이선싱페어 참가지원」참가기업 선정결과.. 2022 제주 애니아일랜드 운영사업 「캐릭터라이선싱페어 참가지.. 2022-05-03 32142
1188 제2회 울산국제영화제 영화 제작지원 사업 공모 제2회 울산국제영화제 영화 제작지원 사업 공모.. 5 2022-04-27 29760
1187 2022 제주웹툰캠퍼스×한국만화웹툰학회 「봄 국제 학술대회·국제교류전」.. 2022 제주웹툰캠퍼스×한국만화웹툰학회 「봄 국제 학술대회·국제.. 2022-04-27 29472
1186 일반인 미디어교육 '제주시 포토샵 기초에서 실무까지' 교육 수강생 모집.. 일반인 미디어교육 '제주시 포토샵 기초에서 실무까지' 교육 수.. 1 2022-04-26 30474
1185 2022 제주 콘텐츠산업 거점기관 정책 거버넌스 지역네트워크분과 1차 회의 분과위원 .. 2022 제주 콘텐츠산업 거점기관 정책 거버넌스 지역네트워크분과.. 2022-04-22 37403
1184 2022 마을공동체 미디어 활성화 지원사업 '신규단체' 추가모집 공고.. 2022 마을공동체 미디어 활성화 지원사업 '신규단체' 추가모집 .. 1 2022-04-22 33251
1183 22 콘텐츠 오픈 이노베이션 지원(콘피니티) 2차 참여기업 모집.. 22 콘텐츠 오픈 이노베이션 지원(콘피니티) 2차 참여기업 모집.. 7 2022-04-21 29967
1182 2022 문화창작품 홍보마케팅 지원사업 선정심의위원회 심의결과알림.. 2022 문화창작품 홍보마케팅 지원사업 선정심의위원회 심의결과.. 2022-04-20 35235
1181 2022 마을공동체 미디어 활성화 지원사업 선정결과 알림 2022 마을공동체 미디어 활성화 지원사업 선정결과 알림.. 2022-04-20 32197
1180 2022 글로벌 문화콘텐츠 제작지원사업 선정심의위원회 선정결과 알림.. 2022 글로벌 문화콘텐츠 제작지원사업 선정심의위원회 선정결과 .. 2022-04-20 34663
1179 2022년 출자·출연기관(장) 경영평가 「고객만족도 및 청렴도 조사」 관련 개인정보 .. 2022년 출자·출연기관(장) 경영평가 「고객만족도 및 청렴도 조.. 1 2022-04-20 31845
1178 2022 제주 지역특화콘텐츠개발지원사업 심의위원회 선정결과 알림.. 2022 제주 지역특화콘텐츠개발지원사업 심의위원회 선정결과 알.. 2022-04-18 33096
1177 2022 영상문화 육성지원 공모사업 선정결과 공지 2022 영상문화 육성지원 공모사업 선정결과 공지.. 2022-04-18 30655
1176 2022 취약계층 미디어 제작 및 송출지원사업 선정결과 알림 2022 취약계층 미디어 제작 및 송출지원사업 선정결과 알림.. 2022-04-18 29055
1175 2022 제주웹툰캠퍼스 웹툰제작 지원사업 공고 2022 제주웹툰캠퍼스 웹툰제작 지원사업 공고 6 2022-04-15 31035
1174 2022 신규 미디어강좌 공모사업 선정 결과 알림 2022 신규 미디어강좌 공모사업 선정 결과 알림.. 2022-04-15 30797
1173 2022 제주형 융복합 문화콘텐츠상품 제작지원사업 선정평가 결과알림.. 2022 제주형 융복합 문화콘텐츠상품 제작지원사업 선정평가 결과.. 2022-04-15 29910
  •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 제주문화예술재단
  • 제주문화포럼
  • 영화진흥위원회
  •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 서울애니메이션센터
  • 한국영화인총연합회
  • 한국독립영화협회